가시덤불 속을 걷는 치유
* 경고: 예기치 않게 가족을 잃은 경험을 지닌 독자, 혹은 학교폭력에 노출되었던 경험을 지닌 독자의 경우 이 글을 읽거나 언급된 두 편의 영화(<죄 많은 소녀>, <살아남은 아이>)를 관람하는 일이 트라우마를 자극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주의를 요합니다.
작은누나가 세상을 떠난 뒤 엄마와 나는 한동안 매일 성모상 앞에서 묵주기도를 드렸다. 스스로 세상을 떠난 이는 절대로 천국에 갈 수 없다고 가르치는 천주교회의 가르침이 있었지만, 그래도 남은 사람들이 열심히 기도하면 누나의 영혼이 구원을 얻어 지옥이 아닌 연옥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일말의 희망이 우리의 발목을 붙잡았다. 어차피 죽은 자에게 최선을 다 할 수 있는 방법이 기도 말고 다른 게 있었던 것도 아니니까. 1월에 세상을 떠난 누나를 위해 시작한 기도는 4월이 되어도 끝날 줄 몰랐다. 창 밖 나무들에 푸른 잎이 돋고 꽃이 피어나던 4월의 어느 날, 엄마는 창 밖을 바라보며 말했다. 엘리엇 시에 보면 사월은 잔인한 달이라는 말이 있어. 그게 무슨 뜻인지 이제야 알겠다. 네 누나가 없어도 저렇게 꽃도 피고 잎도 푸르고 햇살도 따뜻하구나. 아무 것도 변한 게 없이. 열 다섯의 나는 대꾸를 하지 못했다. 나만 아니었으면 누나가 저 꽃도 보고 잎사귀도 보았을 것이라 생각했으므로.
타인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쉽게 무던해지는 것도 쉽게 행복해지는 것도 다 무섭다. 내가 그랬다. “오늘따라 네 누나 낌새가 좋지 않으니 내가 정오 미사를 드리고 오는 동안 집 비우지 말고 있으라”던 엄마의 말을 무시하고 집 앞 책 대여점을 다녀온 사이에 누나는 세상을 떠났다. 나는 그 후 오랫동안 나만 아니었다면 누나가 살아서 우리와 함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오래 지고 있었다. 물론 개중 웃는 날도 있고 겉보기에는 아무렇지 않아 보이는 날도 있었지만, 나 자신이 유족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누나의 죽음에 책임을 지닌 죄인이기도 하다는 무게는 10년 넘게 일상처럼 내 어깨를 짓눌렀다. 마치 <죄 많은 소녀>(2017)의 영희(전여빈)가, <살아남은 아이>의 기현(성유빈)이 그런 것처럼. 그건 내 잘못이 아니었다고 발버둥치다가도 어느 순간 그 모든 게 내 잘못이었다는 생각에 스스로에게 모질게 구는 일을 반복했다.
경민(전소니)의 실종 뒤에 가려진 진실을 밝히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이들의 움직임으로 시작하는 <죄 많은 소녀>와 달리, <살아남은 아이>는 이미 은찬(이다윗)을 추모하는 첫 단계가 모두 마무리된 자리에서 시작한다. 함께 물놀이를 갔다가 물에 빠진 친구 기현을 구하기 위해 제 목숨을 바친 은찬은 의사자 지정이 되었고, 외동아들을 잃은 아버지 성철(최무성)은 아들의 이름으로 장학기금을 만들며 부서진 가정을 다시 붙여보려 노력 중이다. 아들이 목숨을 걸고 살려낸 아이 기현이 가족과 사회로부터 방치된 채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걸 발견한 성철은, 아내 미숙(김여진) 몰래 기현을 거두어 도배 일을 가르치며 보살핀다. 그러나 죽음을 극복하는 일이 이처럼 원만하기만 할 리가 없다. 은찬의 목숨값으로 살아난 기현에게는 차마 말하지 못한 진실이 있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묻어둔 진실의 무게는 더 무거워진다. 미숙이 싸준 음식을 손에 쥐고 집 앞까지 왔다가 비틀대며 구토하는 기현은 안다. 죽음에 책임을 지고도, 그 사실을 숨긴 채 아무렇지 않게 살 수는 없는 일이라는 것을.
<죄 많은 소녀>에서 그 책임을 나누어 진 것은 경민 엄마(서영화)와 영희다. 두 사람 모두 자신의 잘못이 아니며 상대에게 잘못이 있다고 한사코 책임을 떠밀고 있지만, 그들의 절박함은 자신에게 죄가 있음을 잘 아는 이들의 것이다. 상대의 죄가 더 커져야, 자신의 잘못을 잠시라도 잊고 감출 수 있으니까. 마지막 시퀀스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자해를 예고하거나 기도하는 경민 엄마와 영희의 몸부림은, 책임을 지고도 자신은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을 감추기 위한 애처로운 자기보호다. 얼핏 <살아남은 아이> 속 기현이 택한 방향과 정반대로 보이지만, 사실 두 영화는 살아남은 이들에게 남겨진 폐허가 새겨진 동전의 양면이다. 영희처럼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를 의심하든, 기현처럼 세상 사람들이 진실을 모르고 책임을 묻지 않든, 결국 책임을 가장 강하게 묻는 주체는 자기 자신이며 그 질문에 대답하는 행위 없이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남은 사람들은 구원을 얻을 수 있을까. 단언할 수는 없다. 목소리를 잃은 영희는 숨 쉬고 말하고 먹을 때마다 자신이 그토록 도망치려 했던 제 책임의 실체를 실감하게 될 것이고, 성철과 기현은 작업복에 걸어 둔 안전핀을 볼 때마다 은찬의 죽음을 다시 떠올릴 것이다. 그렇게 끊임없이 자신의 책임과 상실을 떠올리며 살아가는 것 또한 속죄의 한 방식이라 한다면, 남은 사람들이 구원을 얻는 일도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이들에겐 책임으로부터 도망치며 얻는 거짓 평안보다, 고통과 죄책감의 가시덤불을 통과하며 치르는 속죄가 치유의 길에 더 가까울 수 있으니까. 내가 그랬고, 기현이 그랬으며, 영희가 앞으로 그럴 것처럼.
감독 신동석
주연 최무성, 김여진, 성유빈
시놉시스
아들 은찬을 잃은 성철과 미숙은 아들이 목숨을 걸고 구한 아이 기현과 우연히 마주친다. 슬픔에 빠져있던 성철과 미숙은 기현을 통해 상실감을 견뎌내고, 기댈 곳 없던 기현 역시 성철과 미숙에게 마음을 열어간다. 그러던 어느 날, 기현의 예상치 못한 고백은 세 사람의 관계를 뒤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