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이야기>(2019)

살면서 문득 막연하게 궁금해지는 것이 몇 있다. 그중 하나가 결혼에 대한 궁금증이었다. 결혼이라는 게 뭘까. 서로가 서로를 선택해 가족이 된다는 건 어떤 경험이고, 그건 나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딱히 비혼주의자도, 그렇다고 결혼을 심각히 바란 적도 없는 나의 태도만큼이나 막연한 궁금증이어서일까? 어쩌다 한 번씩 결혼을 주제로 한 대화가 마무리될 때쯤, 기혼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돌아오는 답변은 두루뭉술 그 자체였다. “해도 후회, 안 해도 후회인 게 결혼이야.” 그럴 때마다 나는 속으로 생각했다. 그런 얘기는 나도 하겠다.

노아 바움백의 신작 <결혼 이야기>를 보고는 애매한 답변들의 이유를 조금은 더 분명하게 알 것 같았다. 당연하지만 결혼은 짧게는 몇 분, 길게는 몇 시간 안에 요약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다. 아내와 남편이라는 당사자뿐 아니라 그들을 포함한 가족 공동체와 주변 사람들까지 수많은 이들의 인생이 얽혀들면서 발생하는 온갖 행복과 불행의 총체였다. ‘조금은 더 분명하게’라는 치사한 단서를 붙인 것 역시, 이런 간접경험으로는 평생 이해하지 못할 것임이 확실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직접경험이 된다 한들 속속들이 이해하지 못하긴 마찬가지일 거라는 생각 역시 확실해졌다.

영화는 니콜(스칼렛 요한슨)과 찰리(아담 드라이버)의 결혼 생활이 아닌, 그들이 이혼하는 과정을 다룬다. LA에서 나고 자랐으며 주목받는 신예 배우였던 니콜은 결혼과 동시에 뉴욕으로 이주했고, 재능 있는 연출가인 찰리의 극단에서 함께 일해왔다. 두 사람 사이에는 헨리(아지 로버트슨)라는 아들이 하나 있다. 무난한 합의 이혼을 꿈꾸던 둘의 상황은, 니콜이 헨리와 함께 LA로 돌아가 변호사를 고용한 이후 진흙탕 싸움으로 변모한다. 크게는 양육권을 사이에 둔 다툼이다. 니콜은 새로운 TV 시리즈 출연 제안을 받아 촬영에 임하고, 브로드웨이에 진출한 찰리 역시 날로 명성이 높아지고 있다. 커리어에는 호시절이 찾아왔으나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은 더없이 힘겨운 시간을 통과하는 중이다.

법적으로 엮였던 두 사람의 인생이 다시 독립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보면서, 나는 지쳤다가 경악했다가 공감했다가 웃었다가 울었다. 보는 사람마다 감정이입의 포인트가 다르겠지만 내 경우엔 니콜의 고충에 더 마음을 빼앗겼다. 이혼 과정을 허둥지둥 받아들이는 듯한 찰리와 달리 니콜은 ‘어디에서부터 잘못된 걸까’와 같은 종류의 말을 하는 인물이 아니었다. 자신의 결혼 생활이 왜 불행해졌는지, 왜 더 이상 이어갈 수 없는지를 자기 자신을 중심에 두고 정확히 추론하고 명명백백 파악하고 있었다. 니콜이 이혼을 결심하도록 추동한 것은 내가 나로서 온전히 존재할 수 없는 순간들의 누적된 고통이다. 그가 진단하는 자신의 삶은 찰리의 그림자에 가까웠다. 다만 니콜이 겪는 아픔은 온전한 불행이라고만 말하기엔 조금 어려운 종류의 것이기도 했다. 니콜과 찰리 사이에는 그들의 파트너십과 사랑 역시 아직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마음은 때때로 연약하되 법은 가차가 없다. 함께 이룬 것들은 철저하게 누구의 공인지 가려지고, 변호사들은 어떻게든 자신의 의뢰인이 이기는 싸움이 되도록 상대방의 실책을 찾아낸다. 사소한 실수는 귀책사유가 되고, 직업적 능력과 인격은 상대 변호인의 입을 통해 무참히 폄하된다. 니콜과 찰리는 서로 누더기가 되는 싸움을 이어나간다. 더 정확하게는 상대의 마음을 후벼 파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듯한 언어들을 쏟아내는 자신의 치졸한 밑바닥을 목격하는 싸움이다. 이 싸움은 어떻게든 서로의 마음에 구멍을 낸다. 상처는 아물더라도 흔적은 남을 것이다. 두 사람의 첫 순간처럼 만난 지 2초 만에도 가능한 것이 사랑에 빠지는 일이건만, 헤어짐은 이다지도 쉽지 않다.

두 사람이 이혼하는 과정을 지켜본 한 명의 목격자로서 내릴 수 있는 판단은, 난무하는 법정 용어들이 이들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순 없다는 것뿐이었다. 누가 무엇을 잘못했든 그들의 결혼은 서로에 대한 사랑과 존중 그리고 이해로 채워진 시간이기도 하다. 두 사람의 이혼은 이 사실 역시 다시금 깨닫게 만드는 과정이기도 했다. 결혼의 끝이 곧 가족의 끝임을 의미하지도 않았다. 니콜과 찰리는 아들 헨리의 부모로서 최선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다. 둘의 삶은 여전히 이어져 있다. 이 영화가 <이혼 이야기>가 아닌 <결혼 이야기>인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찰리는 의심할 바 없이 노아 바움백 감독의 전신이다. 알려진 바대로 그는 2013년 배우 제니퍼 제이슨 리와 이혼했다. 극 중 분노에 찬 니콜의 표현에 의하면 “너무 이기적이어서 자기 자신이 이기적으로 굴고 있다는 것마저 잊은” 자의식 강한 뉴욕의 예술가는 인생의 암흑 같았던 순간마저 예술적으로 승화했고, 그의 커리어에서 오래도록 이야기될 <결혼 이야기>라는 결과물을 만들었다. 아닌 게 아니라 바움백은 자신의 생애를 양분 삼아 만든 작품들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아가는 중이다. 얄미울 정도로 똑똑한 자기 성찰이다.

그가 생각한 결혼이란, 배우자와 살아가는 일이란, 극 중 찰리가 부르는 ‘Being Alive’의 가사로도 요약 가능한 듯 보인다. 나를 너무 필요로 하는 사람. 나를 너무 꽉 안는 사람. 깊은 상처를 주는 사람. 충격적으로 나를 마비시키고 지옥을 경험하게 하는 사람. 그리고 내가 살아가게 하는 사람. 인생의 어느 시기에 그런 사람을 곁에 두고 서로의 시간을 공유한다는 것. 결혼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이지만, 더는 예전처럼 막연하게 궁금하지만은 않다.

<결혼 이야기>(2019)
Marrige Story
감독
 노아 바움백
주연 스칼렛 유한슨, 아담 드라이버, 로라 던, 알란 알다, 레이 리오타
시놉시스
파경을 맞았지만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한 가족을 예리하고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