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30806_

‘월간 토크’의 일곱 번째 시간. 이번 달의 주인공은 포토그래퍼 방상혁이다. ‘랑방’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그는 최근 윤종신이 이끄는 아트 에이전시 ‘Monthly A’에 합류했으며, <월간 윤종신> 10월호 ‘기억의 주인’의 앨범 포토를 작업했다. 미술가로만 이루어져 있던 ‘Monthly A’에 합류한 첫 포토그래퍼이기도 하다. 윤종신과 ‘Montly A’의 디렉터 이강훈이 직접 방상혁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번 대담은 10월 15일 서울 청담동에서 진행되었다.

01-30992_

01-31008_

“제 작업에서는 저와의 관계와 애정이 제일 중요하거든요.”

윤종신_방상혁 작가는 ‘랑방’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활동 중인데요. 이름의 뜻이 뭐예요?

방상혁_뜻은 없어요. ‘랑’자가 예뻐서요. 제가 아이들의 이름을 미리 다 지어놨는데요. 그중 하나가 ‘랑’이에요. 방랑. 방울이도 있고 방글이도 있어요.(웃음)

이강훈_기본 셋은 낳겠다는 거네요.

방상혁_네, 세 명은 낳아야죠.(웃음) 어머니가 제가 사진 찍는 걸 모르셨거든요. 좀 더 인정을 받은 다음에 알려드리고 싶었어요. 제 작업에 누드가 많으니까 아무래도 말씀드리기가 조심스럽잖아요. 그래서 다른 이름을 썼어요. 뭐, 어머니가 다 보게 되셨지만요.

윤종신_어떻게요?

방상혁_주변에서 하는 말을 들으신 거죠. 아들이 누드 사진 같은 이상한 걸 찍고 있다. 어머니가 2주 동안 우셨어요. 아무래도 어른이고 보수적이시니까 벗는다는 것 자체를 안 좋게 보시는 거죠. 저랑 얘기를 많이 하셨어요. 마침 그때 제가 갤러리에 사진을 팔았고, 기사가 나왔고, 외국에서도 연락이 오고 해서 인정받고 있다는 걸 보여드렸죠. 이거 정말 이상한 거 아니라고, 저는 제 자신이 안 부끄럽다고 말씀드렸어요.

윤종신_사진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요?

방상혁_군대 갈 때 사진 세 장을 들고 들어갔어요. 해군이었고, 기초 훈련이 정말 힘들었거든요. 그때 그 사진들을 보고 정말 큰 힘을 얻었어요.

윤종신_무슨 사진인데요?

방상혁_친구들 사진이었어요. 여자 친구, 여자 친구의 친구, 그리고 남자인 친구. 휴가 나가자마자 폴라로이드 사진기를 사서 사람들 얼굴을 찍기 시작했어요. 그렇게 찍은 게 1000장도 넘어요. 지금도 집에 다 있어요. 그리고 제대한 다음, 카메라가 생겼어요. 아버지가 쓰던 카메라를 받았거든요. 그때부터 열심히 찍기 시작했죠.

윤종신_그럼 그전에는 하고 싶었던 게 뭐였어요?

방상혁_고등학교 때 미술을 전공했어요. 조소요. 하지만 ‘아, 이거다.’ 하는 느낌은 없었죠.

윤종신_그럼 사진은 ‘아, 이거다.’하는 느낌이 있었어요?

방상혁_제대 후에 아르바이트 하면서 취미로 사진을 찍기 시작했는데, 이게 내 길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진 찍는 거 평생 해야겠다고 생각했죠. 그때 이후로 계속 제가 좋아하는 것들만 찍었어요.

윤종신_뭘 찍었는데 그런 느낌이 왔어요?

방상혁_여자 친구요.

윤종신_혹시 여자 친구랑 사진 때문에 헤어진 경우는 없었어요?

방상혁_사진 때문은 한 번도 없었어요. 왜냐면 그건 동의 하에 작업한 순수 예술이고, 제가 그걸로 다른 걸 하려고 하는 게 아니니까요. 여자 친구가 원치 않을 때는 작업하지 않았고요. 아, 삼 년간 찍었던 걸 나중에 지워달라고 했던 친구가 있었는데, 그땐 정말 마음이 아팠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누드’라고 했을 때의 곱지 않은 시선을 생각해보면 충분히 이해해요.

04-31268_
윤종신_누드를 위해 상업적인 모델과 작업해본 적은요? 미술도 그렇고 사진도 그렇고 누드는 대부분 그렇게 작업하잖아요.

방상혁_저 같은 경우는 한 번도 없었어요. 꼭 누드가 아니더라도 제 작업에 등장하는 모델들은 대부분 저와 가까워요. 여자 친구도 있었고, 뭔가 썸을 타는 사람도 있었고, 가족같이 친한 친구들도 있고요. 찍히고 싶다고 자청하신 분들도 몇 분 있었는데, 그런 경우는 작업하면서 친해졌죠. 제가 그런 분들이랑 잘 맞더라고요.(웃음) 제가 보기보다 부끄럼도 많이 타고 낯도 가리고 해서 처음 본 사람이랑은 작업을 잘 못해요. 잘 모르는 사람도 잘 못 찍고요. 잘 알게 되고 나서 작업해요. 제 작업에서는 저와의 관계와 애정이 제일 중요하거든요. 특히 누드는 그런 저의 신념을 잘 보여주고요.

윤종신_보통 누드 작업하는 분들은 육체 그 자체에 관심이 크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방상혁 작가는 그보다 감정적 교류가 중요한 거군요.

방상혁_다른 분들은 어떻게 보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그래요. 대상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작품이 좋을 수 없어요. 예전에 지나가다가 모델로 마음에 드는 분이 있어서 말을 걸고 찍어본 적이 있는데, 잘 안 나오더라고요.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했어요. 그렇게 단순히 작가와 모델로 만나는 경우는 한 번 이상 작업을 안 하게 되더라고요.

윤종신_요즘에도 계속 누드 작업을 하고 있나요?

방상혁_요즘이 제 관심사가 좀 변하는 시기예요. 이전까지는 여성을 중심적으로 담았다면, 요즘에는 다른 것들로 눈을 돌리고 있거든요. 이전까지가 본능적이고 감정적인 작업이라면, 이후는 조금 반대쪽으로 가보려고 해요.

01-31008_

“저는 제 사진을 다 보여주고 싶어요. 모두 다 봐야 저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해요.”

윤종신_전시회를 열었던 경험이 있나요?

방상혁_아니요, 개인전도 없고 단체전도 없어요. 사진집은 아주 소규모로 개인적으로 낸 적이 있고요. 전시 제안은 몇 번 있었는데 다 거절했어요. 특히 작년에는 한 번쯤 해볼까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그런 마음이다 보니까 흐지부지되더라고요.

윤종신_왜 안 했어요?

방상혁_전시라는 게 그냥 별로더라고요. 처음 본 전시에 대한 기억이 별로 안 좋은 게 영향이 있는 것 같아요.

이강훈_어떤 전시였는데요?

방상혁_그냥 별로인 전시였어요.(웃음) ‘아, 전시회가 이런 건가? 나도 하겠다.’ 이런 마음이 들었죠. 멋지지 않더라고요. 다른 전시도 많이 봤는데, 별로 와 닿지 않았어요. 저는 전시회에 대한 기대가 컸던 것 같아요. 연예인이 TV에 나온다든가, 가수가 콘서트를 한다든가 그런 것이잖아요. 근데 기대가 커서 그런지 실망도 컸던 거죠.

이강훈_안일하게 준비하면 그렇게 느껴질 수밖에 없죠.

방상혁_전시라는 게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작품을 추려야 하잖아요. 근데 저는 제 사진을 다 보여주고 싶거든요. 몇 장만 보는 게 아니라 모두 다 봐야 지금까지의 저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해요.(웃음)

이강훈_그건 어떻게 전시를 구성하느냐에 따라 가능하기도 해요. 모니터로 보여줄 수도 있는 거니까요.

윤종신_이건 저에게는 어떤 문제 제기처럼 들려요. 기존의 전시 방법이 획일적이라는 얘기니까요. 자기를 보여주는 방법이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놓은 틀과 같을 필요는 없어요.

방상혁_저는 홈페이지에서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냥 기존의 전시처럼 할 바에는요. 보통 전시하면 아는 사람들이 오고, 친목을 쌓잖아요. 그런 게 너무 싫더라고요. 돈도 없는데 그런 데 돈 쓰고 싶지 않았어요. 예술의 전당에서 전시하는 게 아니면 하지 말자고 생각한 적도 있어요. 아는 곳이 거기 뿐이었을 때는요.(웃음)

이강훈_작년에 ‘스기모토 히로시’의 전시를 보고 팬이 되었거든요. 사진전도 이렇게 멋지게 할 수 있다는 걸 느꼈달까요. 조명 하나하나를 제대로 쓰더라고요. 사진 자체도 좋았지만, 작가의 의도를 살리면서 작품과 어우러지는 환경을 구현해낸 큐레이팅도 훌륭했거든요. 그 전시를 봤다면 전시에 대한 생각이 또 달라졌을 것 같아요.

방상혁_저도 좋았던 전시 있었어요. 몇 년 전에 ‘카쉬’전은 정말 좋게 봤거든요. 작품이 대단해서 그냥 압도됐죠. 역시 가장 중요한 건 작품인 거 같아요.(웃음)

이강훈_저는 방상혁 작가가 이전까지의 작업을 모아서 한 번 보여줄 필요는 있다고 생각해요. 특히 요즘처럼 관심사가 변하고 있을 때는요. 어떻게 정리해서 아카이빙하고 보여줄지 고민해야죠. 그 과정을 기록하는 것도 중요해요.

“모자에 깃털이 달려 있건 먼지가 붙어 있건 그건 저한테 중요하지 않아요. 제가 원하는 건 어떤 느낌이죠.”

윤종신_이번 월간 윤종신 커버 작업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죠. 남자를 모델로 사진을 찍은 건 이번이 처음인가요?

방상혁_처음은 아닌데, 많지는 않아요.

윤종신_홈페이지에도 남자는 본인밖에 없는 것 같더라고요.(웃음) 남자도 잘 찍던데요.

방상혁_아니에요.(웃음)

윤종신_저는 일단 달라서 좋았어요. 제가 수많은 포토그래퍼들이랑 작업을 해봤는데, 정말 달랐어요. 제가 분명히 제 얼굴각을 알 거든요. 근데 이건 진짜 못 본 각이더라고요.

방상혁_사실 걱정이 많았어요. 남자분들 작업을 거의 안 해봐서 자신도 없었고요.

이강훈_남잔데 옷도 입었고 모자까지 썼잖아요.(웃음)

방상혁_준비도 많이 못 해서 보다 직관적으로 작업하려고 했던 것 같아요.

윤종신_그래서 더 좋았어요. 그 직관에서 아티스트의 스타일이 나오니까요.

방상혁_저는 디테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가는 아닌 것 같아요. 이번 작업을 하면서도 모자에 깃털이 달려 있건 먼지가 붙어 있건 그건 저한테 중요하지 않았거든요. 제가 원했던 전체적인 느낌을 내는 게 중요했죠.

이강훈_저는 방상혁 작가가 디테일을 잘 살린다고 봐요. 그 디테일이라는 게 단순히 꼼꼼하고 세밀하게 보는 걸 의미하는 게 아니라 의도한 느낌을 낼 수 있도록 잘 컨트롤하는 걸 뜻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저도 그림을 러프하게 그리는 편이지만, 디테일이 없다고 생각하지 않거든요. 내가 의도한 것을 해낼 수 있는 게 중요한 거죠.

방상혁_아, 그럼 저도 디테일 한 거네요.(웃음) 그렇다면 기술보다는 감정을 더 증요하게 생각한다는 표현이 맞겠네요. 기술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그게 주가 되는 건 원치 않으니까요.

윤종신_작업에 있어 디테일이라는 게 시간을 들여서 꼼꼼하게 챙기는 것만 의미하지는 않아요. 방상혁 작가도 작업하는 도중 뭔가 직관적으로 거슬리는 게 있다면 셔터를 누르지 않았을 거란 말이에요. 그림을 그리는 것도 그렇고 곡을 쓰는 것도 그래요. 자신의 감각 안에서 뭔가 잘못된 게 회로에 걸리면 잘 움직여지지 않죠. 그걸 감지하고 움직이는 게 그 사람만의 디테일인 거죠. 작업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방상혁_잘 정리해주셨네요.(웃음)

04-31109_
윤종신_저는 방상혁 작가의 작업에서 배짱이 느껴져서 좋아요. 그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어렸을 때부터 뭔가에 꽂혀서 그걸 깊게 파보는 거요. 저희는 어렸을 때 그런 걸 못 해본 거 같아요. 진짜 내가 좋아하는 걸 해야 할 때 쓸데없이 눈치만 보면서 시간을 보냈죠. 배짱이 없었어. 내가 그때부터 기타를 배웠으면 우리나라 음악판을 바꿨을 텐데!(웃음)

이강훈_저도 방상혁 작가가 직접 부딪히고 있다는 걸 보여주기 때문에 좋은 작가라고 생각해요. 그런 느낌이 좋아요.

윤종신_앞으로도 앨범 포토 작업 의뢰가 들어온다면 할 생각이 있어요?

방상혁_그럼요. 상업적인 작업도 하고 싶어요. 일은 안 가리고 다 해요. 근데 원칙은 있어요. 하고 싶을 때만 해요. 어릴 때부터 그랬어요. 운이 좋게도 그렇게 했어요.

윤종신_개인 작품으로 돈을 많이 벌면 안 할 거죠?

방상혁_네!(웃음) 개인 작업은 얽매이지 않고 하는 거니까 행복하죠.